수업 관계로 Ruby와 Ruby on Rails를 이용해야만 한다. 하나의 시스템에 웹 서버를 몇개씩 설치하는 것은 참으로 귀찮은 일인데, 이게 충돌을 한다면 더더욱 귀찮은 일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런 것들 뿐이니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
공교롭게도, 아니 당연하게도 PHP와 Ruby on Rails는 충돌이 있다. 둘다 MySql이라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므로 세팅이 다른 것이 당연하고, 각자의 세팅에 맞게 접속을 해 줘야 한다. 공짜라 그런가, 아니면 내가 뭘 설치하기 귀찮아서 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커멘드 라인에서 아직은 사용하는 단계이므로 접속을 위해서는 뭔가 해 줘야 한다.
일단은 PHP를 기동하는 APMSetup Monitor를 기동해서 PHP를 멈춘다. 이때 MySql도 함께 작동을 중지시켜야 Ruby on Rails를 기동시킬 수 있다. 그러고 나서 InstantRails를 기동시키면 함께 설치된 MySql이 기동된다. 비록 같은 데이터베이스이지만 자료를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path가 다르므로 접속하는 방법도 다르다.
InstantRails에서는 그냥 패스워드 없이 접속이 된다. 즉 커멘드 라인에서 mysql -u root 라고만 치는 것으로 접속이 된다. 물론 만들어진 테이블들은 InstantRails 폴더 내의 MySql 폴더에 저장이 되겠고 Ruby on Rails 상에서 작동할 것으로 생각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