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9-19

엉뚱하게 찾은 Abstract description의 진짜 의미 [The REAL meaning of "abstract description"]

관련 기사는 여기를 참조. (Click link to see concerned Korean article.)

요즘 뭔가 한다고 앉아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Intent를 Abstract description of needed information으로 정의해 놓고는 이걸 어떻게 찾을지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추상적 또는 개념적인 (abstract) 일들을 머리 속으로 상상하기는 쉽지만 이것을 구체화 (textual) 하기엔 어려운 것이 사실인데, 대부분의 경우 생각한 것을 나타내는 keyword 중에서 중요한 것을 골라내는 것으로 갈음하곤 한다.

Recent research activities with sitting my chair is about finding intent, defined as "abstract description of needed information." Actually abstract facts can easily be imagined in the head, but difficult to realize using tests. Easiest approach is selecting keywords from thinking itself.

머리를 싸매면서 고민만 하는데, 그냥 답은 아니지만 재미있는 기사를 봤다. J리그 빗셀 고베 팀이 규정 위반으로 벌금을 부과받았는데 이유가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근데 최선을 다한건지 아닌지 판단한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 아닌가. 명확하게 이유를 제시하고 벌을 부과하는 경우 뒷말도 안나오고 당사자도 수긍하게 되는데, 규약에 "최근 5경기에 1경기 이상 참가한 선수를 최소한 6명 이상 참가시켜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고 한다.

During troubling head, I saw interesting article. Vissel Kobe, a pro team of Japan soccer league (J-league) was fined by violation of rules that "Did not do their best." It is really 'abstract' judgment whether they did their best or not. This kind of judgment must have clear subrules and/or facts which must be fulfilled. Their rule expresses this as "The team must include min. 6 players who played min. 1 game in 5 games before."

물론 이 규정이 공평하다거나 하는 것을 논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막연하게 개념적인 내용을 이를 구성하는 요소를 끌어내어 (feature: 경기수, 선수수, 경기의 비율, 선수의 비율)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이를 1로 보고 아닐 경우 0으로 보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명확한 기준이 아닐 수 없다는 것이다.

I do not want to discuss whether this rule is fair or good. Abstract description must be said using features (such as # of games, # of players, % of games and % of players) and criteria using these features. Though they use 0/1 theory, feels really simple and clear rule can express the abstract discussion points.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