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지금 대선으로 뜨거운 분위기(?)인 것 같다. 서로 물어뜯는 듯한 분위기이긴 하지만, 어찌 되었든 내일의 지도자를 뽑는 분위기에서 생각해봐야 할 문제가 많은 것은 사실인지라, 과거에 잘못된 것은 반성하고 앞으로 잘 하자는 생각은 나쁜 것은 아닌 것 같다.
Korea is hot-pot now due to coming presidential election. Looks like striking each other, I (we) need to think many things because it is important event to choose the future leader of Korea. Then repenting faults in the past and proceed to the future is not bad things, I guess.
하지만 반성하는 것이 당사자로서인가 또는 감독자로서인가 하는 문제는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누가 자기 부모를 욕하고 싶겠는가만, 오랜 세월이 지나가도 잊혀지지 않는 것이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 문제는 세상에는 그런 일들이 너무 많다는 거고, 지나고 나서 후회해도 돌이킬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현실에서 자신이 잘 했다고 또는 손해봐서 억울하다고 지금 해결하라는 논리도 타당치 않거니와, 그에 따른 혜택 또는 손실을 보는 당사자로서 긍정이니 부정이니 하는 언급은 역시 적절치 않은 거라는 생각이다.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겠지만, 내가 잘못한 부분은 이런 것인데 이것을 언제까지 고치겠다 또는 앞으로 책임지고 이런 일들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하겠다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인간이니만큼 알면서도 잘못하는 일들이 분명히 생길 것이기에, 그래서 역사라는 것이 가치를 가지는 것이니 말이다.
However, important point is who will be "repenting" and "proceeding" people, as the person concerned or the person supervised. Who wants to blame the own parents? But there are too many things which could not be forgotten and irrecoverable though regrettable. These cannot be paid right now whether the person concerned did well or wrong, moreover, cannot be said as good or bad especially when one is a concerned person. Here we can say that these must be the remains within the history, but more clean passage is saying sorry with those and promising the correction with designated period, or confirming that these will not happen again. Human did faults frequently, which makes historical wisdom valuable.
잊혀진 전쟁, 삶의 불공평함을 지금까지도 느끼고 사는 수많은 사람들 틈에서, 자신의 앞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해 무언가 말하는 (또는 말해야만 하는) 사람도, 그걸 말하지 않는다고 물어뜯는 사람도 참 사람답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하물며 국가를 운영한다는 사람이 그래서야 되겠는가. 지금 나라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SN에 묻지 말고 자신의 가슴에 물어봐야 하지 않을까. 국가를 품은 사람이라면 그 대답이 뭔지 알 것이 아닌가. 그렇지 못하다면 "꾼"에 불과할 것이다. 과연 현실도 제대로 못하는 사람에게 과거며 미래를 짊어지게 할 수 있을까. 그걸 일상적으로 느끼는 이 세태는 피로감만 가중시킬 뿐이다.
Among the people who remember forgotten war and/or unfairness of life, the one who (needs to) say something harmful which will influence own future, or one who force another saying this are all not fair. Case of one who tries to rule the nation is much more under consideration. Please ask concerned with that fact not to Social Network, but to your heart. You may know the answers if the nation is within your heart. If not, you're not the prepared one for president. We people cannot get the burden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o the one who cannot recognize this, which makes another miss-election.
더불어 내가 잘하는 건 그냥 그렇게 밀어붙이고, 남들이 잘하는 것은 갖다가 쓰겠다는 논리도 좀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그건 참된 논리의 통합이 아니라 야합이라고 표현되는 비겁함의 한 부분이 아닌지. 연구와 정치가 다른 부분이 이런 것이 아닌가 싶다.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나쁘지 않긴 한데, 그것에 국익이라고 하는 큰 부분에 도움이 되는지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 나쁜 줄 알면서도 그 일을 해야만 하는 사람중의 하나로서 생각해 봐야 할 부분이다.
Another thinking is about the vindication, choosing good ones from own and others. This is not true union but illicit union, doing by cowards. This may b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politician and the professor. Not bad if doing effort for own life, but please think about the viewpoint of national welfare. This is one of important viewpoint for who need to choose the bad things for gross profit.
원죄론이니 평등이니 따지고 들자는 게 아니다. 인생도 한번밖에 기회가 없어 공과를 반복하는 것일진대, 자신이 잘한 점에 대해 인정하기도, 잘못한 부분에 대해 반성하기도 참 어렵다. 하물며 나라의 공과를 자신의 것으로 포괄할 수 있는 지도자는 과연 나오지 않을 것인가 하는 안타까움일 뿐이다. 내가 알고 있는 부분이 다가 아니라는 생각을 가진다면 그렇게 사냥개처럼 물고 뜯지는 않을 텐데, 내가 하면 잘 할 수 있다고 외치는 것과 남들이 한 일들을 잘못했다고 지적하는 것은 분명 다른 것일 텐데, 이런 것들을 묶고 섞어 나라가 나갈 방향을 잡는 것이 지도자가 하는 일일 텐데... 과연 우리나라는 끌고 가야 하는가, 끌려가야 하는가 하는 안타까움이 오늘도 마음을 친다. 더불어 나는 과연 지도자로서의 역량이 부족하구나 하고 느끼게 된다.
I do not say about original sin or fairness. A person's life is a chance which has no other. This is why we need to refer others' mistakes. Confessing faults as well as exposing goods are both difficult. We need the people who get the good and bad things in our nation altogether like his own. They cannot bite each other like the dogs if they think the real one is like this... It'll be different that saying "I can do" and "You cannot do." The leader must call the friends and foes to develop the nation... Do we rule the nation or be ruled by someone? This fact strikes my heart even today. Simultaneously I found I have nothing to be the leader.
사족. 현실을 모르는 듯한 무지렁이의 생각으로는, 언론자유를 부르짖을 만한 가치가 떨어지는 "꾼"들이 언론이라는 탈 뒤에서 이런 사태를 더욱 부추기고 있는 것도 같다. 제발 남의 SN 뒤지지 말고, 또는 그걸 이용하려 하지 말고 잘좀 돌아봤으면 좋겠다. 혼자 놀면 좋겠는데, 하긴 그 짓거리로 벌어먹으려면 어쩔 수 없을지도.
P.S. Looks like the people who do not recognize the present, but these facts are supposed to be motivated by the "fellows" under the mask of free speech. Please do not write the articles by searching somebody's twitter but do your own. Better to play alone, but partially understandable because it is part of their strategies to survive... How shame.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