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의 독도 피켓 문제, 야구의 특정 팀 침체 문제, 수영 박태환의 군 입대 등등... 스포츠와 관련된 수많은 소식들이 오늘도 미디어의 지면을 가득 채운다. 요즘은 소위 칼럼니스트라는 사람들이 워낙 늘어난 탓에 너도나도 논평을 하느라 기사를 실을 곳이 없을 지경이다. 그중에서도 몇몇 '인기'가 있는 ('능력'이 있는 것도 같으나 생각해보면 '경험'이 있고 그에 빗대 '평가'가 가능한 것도 같은) 사람들은 많은 지지를 얻고 있는 것도 같다.
There are many articles about sports such as Dokdo picket problem in soccer, disappointment of a pro team in baseball or Park Tae-hwan's joining army (actually not full), etc. Moreover, there are too many columnists in everywhere who write their 'opinions' which are not enough to list on. Some of them have 'popularity' like celebs (I do not say 'skillful', but they look have 'experience' and then can 'evaluate') then many people cheer them up.
이쯤해서 스포츠가 주는 의미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나도 무척 좋아하는 종목들이 있지만, 근본적으로 내가 해서 즐겁고 건강에 좋은 것이 먼저요, 그렇지 못하다면 일상의 힘든 일들을 호쾌하게 풀어주는 것이 바로 스포츠가 가진 좋은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점에서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체로 (축구의 영국인에 비해서 - 듀어든의 시점) 즐기는 데 있어서 인색하지도 않지만 후하지도 않은 사람들인 것 같다.
What I want to say is the real meaning of sports. I also like several, but first it must be good for my health and enjoyable, then make me interesting (enthusiastic?) if I cannot play by my own. From this viewpoint, Koreans are normal (compared with English for soccer mentioned by John Duerden).
여기서 넘어서는 일들은 사족이거늘, 즐기는 사람들이 정치 문제, 구단의 흥행, 광고 수입이나 군 면제와 같은 일들까지 생각하기는 너무 많은 것들을 고려해야 할 것 같다. 물론 소위 '골수팬'을 자처하며 이런 일들을 소위 '까대는' 일도 좋은 일일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그런 일들은 우리같은 팬들의 입장에서는 그냥 모르는 부분이 많은 일일 뿐, 즐기는 데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긴 내가 응원하는 팀이 성적이 나쁘면 기분이 나쁘겠지만 이 또한 선택의 문제가 아닌가 싶고, 괜한 열등감이나 불합리함을 여기에 들이대면 '니가 가서 해라'는 식의 반응만 돌아올 뿐이다.
All others are additional ones from this level, such as political, economical problem and national defense. Surely there are peoples who have deep understanding to coincide the present problem with conditions, which is abnormal with ordinary citizen and no problem to enjoy sports. Frankly I upset with OB Bears' scores when I was young but it is also the matter of choice. If I start to say the pros and cons toward the company until the end, they finally can say 'please do I as you want' and nothing more.
워낙 요즘 세상이 변했는지, 이런 일들까지 온통 드러내어 각종 분석과 추측이 난무하는 일들이 벌어진다. 예전에는 그저 이야기꾼들 중에서 소위 전문가들이나 가능했던 이런 일들이, 연표가 들어간 책으로나 낼 역사적인 일들이 실시간으로 떠오른다. 이게 맞는지 틀리는지, 누구에겐가 피해가 있는지 없는지는 아랑곳없이, 그냥 재미있고 이야깃거리가 되니 와글와글 몰려들고 그 부분을 돈으로 환산하고자 하는 좀 지저분한 노력들이 아닐 수 없다.
Yes, this is Web generation. There are many analysis and assumptions to measure present problems, which were possible only for specialists or journalists. These facts must be written in a book with historical background, but sizzled nowadays regardless of true or false, good or harmful which was controlled by a hand who want to earn money.
당신이 그렇게 잘 아는 전문가라면 '글질'하지 말고 가서 좀 해결해 보라고 이야기하고 싶을 지경인데, 그게 쉽지 않기에 키보드에 의존하고 있으니 그런 말은 말자. 단지 지금 당장이 아니라 먼 훗날 다시 꺼내보아도 참 잘 썼다고 생각할 만큼, 독자들의 눈높이와 나의 지식이 조화를 이루어 이 문제를 생각해볼 만한 일들에 대해 소위 '칼럼'이라고 써 주면 좋겠다. 난 이런 일들이 무서워서 못하겠는데, 참 심장들도 좋으신 모양이다. 좀 즐기고 도전하는 스포츠의 마음으로 돌아볼 수는 없을까?
What I feel is 'please solve the problem by yourself, not just using keyboard,' but I understand their situations. Merely they need to pick the clips following future directions surely as well as present situations, which make them useful as time goes by. Moreover, if you think you're a columnist, please mix the viewpoints of specialists and fans well to make understandable article. Frankly I fear to do this work, but there're many who have strong enough. How can we (they) make sports back to enjoyable or worth to challenge?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