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국에 살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지만, 대부분이 그냥 잘 적응하면 끝나는 거다. 하지만 연구를 하면서 한글로도 표현하기 어려운 내용들을 영어로 표현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일본어로 표현하려면 아직도 요원하기만 하다.
이번에는 일본 국내 학회 논문을 쓰는 데서 발생하는 문제다. 내가 사용하는 LaTeX2e는 영어 기반이고, 한글은 따로 한글 사용자 그룹 (KTUG)에서 잘 호환되는 킷을 만들어 놔서 그걸로 그냥 되는데 (사실 한글을 써 본적은 없어서 확실하지는 않다는 표현이 옳다), 일본어를 TeX로 표현하려면 pLaTeX2e라는 스타일을 지원해야만 한다. 내가 쓰고 있는 환경에서는 이게 적용이 안되어서 컴 하나를 아예 일본어 TeX 전용 환경으로 만들었다. (나중에 국내 저널에 올릴 때를 대비하여^^;;)
1. 먼저 pLaTeX2e를 지원하는 환경 파일들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아래 링크에 가면 통합 파일을 다운로드 항목에 걸어놓았다.
http://www.math.sci.hokudai.ac.jp/~abenori/soft/abtexinst.html
압축을 풀면 디렉토리 안에 인스톨 파일인 abtexinst가 나타나는데, 이걸 선택하면 필요한 파일들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해 준다. Ghostscript 등등...
사용은 아쉽게도 WYSIWYG 환경은 아니다. 도스창을 띄우고 해당 디렉토리로 가서 platex (파일명) 으로 실행해 주면 dvi 파일이 생성되고, 이를 dviout의 File - Dviprt 항목을 이용해서 pdf로 출판하게 된다. 매우 간단하긴 한데, 오류가 나면 그 오류를 서두에 다 써주니 오류 다 잡을 때까지는 온전한 pdf파일을 얻기 어렵다. 물론 bibtex도 지원하니 platex - bibtex - platex - platex 순으로 해 주면 된다.
2. 물론 pLaTeX2e도 사전에 정의된 클래스 파일 (.cls)이 있으면 매우 편리하다. 아래 예는 일본 국내학회인 DEIM의 2010년 템플릿이다. (이상하게도 2011년 템플릿은 에러가 왕창...)
http://db-event.jpn.org/deim2010/author.html#paper
참 까다로운 클래스 파일이다. 정해진 항목이 하나라도 빠지면 오류가 난다. 예를 들어 일본어 형식 저자 정보가 빠지거나 저자 성명란에 들어가는 공백이 일본어 형식의 2바이트 공백이면 바로 에러 메시지가 뜬다.
웃기는 것이 영어 논문이라 일본어 제목은 없는데 이걸 감당을 못하니 부러 일본어 번역 제목을 넣어야 하는 수고가 필요하고, 일본어로 입력하다 보면 공백도 일본어로 입력이 되는데 왜 유독 저자 성명란에서만 그걸 에러로 처리했는가 하는 거다. (정말 한참을 헤맸다.)
사용하면서도 좀 까다로운 것이 그림이나 표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을 못한다. 일일이 보면서 수동으로 위치를 조정해줘야 하고, dviout을 이용해서 잘 나왔나 확인을 하고 pdf로 출판해야 한다.
#### 2011. 12. 30 추가
현재의 LaTeX2e 환경에서 한글은 지원이 안된다. 이 부분은 더 연구가 필요할 듯.
No comments:
Post a Comment